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바
- 그래이들
- 동적 자원
- 삼항 연산자
- 빌드 도구
- 람다식
- 자바 람다식
- 국비 프로젝트
- 변수
- 애플페이
- 연산식
- Gradle
- Java
- 멀티 태스킹
- 웹 프로그래밍
- 연산자
- 깃허브
- 자바 프로젝트
- 자바 이항 연산자
- 그래들
- 스프링부트
- 자바 연산자
- 웹
- 타입변환
- if문
- 조건문
- Github
- 정적 자원
- 단항 연산자
- 람다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7)
인디언식 기우제
C++ C++ 는 C 언어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일반화 프로그래밍, 예외처리 등의 기능을 추가하여 확장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따라서 C가 가지고 있는 모든 기능이 C++ 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C는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이지만, C++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하기 위한 부분이 포함되어있다. C++ 프로그램의 작성 및 빌드 C++로 작성한 프로그램을 담고있는 파일을 소스(source)파일이라고 한다. 소스 파일에는 C++ 소스 프로그램 파일과 C++헤더 파일이 있다. ※ C++ 소스 프로그램 파일 - 처리하고자 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C++ 명령어들을 담고있는 파일 - 확장자 : '.cpp', '.cxx', '.C' 등등. 주로 '.cpp'를 사용함 ※ C++ 헤더 파일..

프로세스(process) 운영체제에서 실행중인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프로세스(process)라고 부른다. 간단히 말하면 실행중인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OS로부터 실행에 필요한 자원(메모리)를 할당받아 프로세스가 된다. 내가 사용하고있는 프로세스의 목록이다. chrome, 카카오톡, 탐색기 등을 사용하고 있는게 보인다. 애플리케이션 마다 할당된 CPU와 메모리가 보인다. 크롬을 실행시켰을 때 저만큼의 메모리를 할당받고 프로세스가 된것이다. 멀티 태스킹(multi tasking)과 스레드(thread) 멀티 태스킹은 두 가지 이상의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이다. 위의 사진처럼 카카오톡을 하면서, 크롬으로 웹서핑을하고, 탐색기로 파일을 찾는 것이 멀티 태스킹이다. 그래서 운영체제는 멀티 태스킹을..
람다식 이란? 함수(메소드)를 간단한 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메소드 int max(int a, int b) { return a > b ? a : b; } 이것이 기존의 메소드이고, 람다식으로 표현하면 //람다식 (a, b) -> a > b ? a : b 이렇게 까지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다. 메소드를 람다식으로 표현하면 메소드의 이름과 반환값이 없어지므로, 람다식을 '익명 함수(anonymous function)'라고도 한다. 람다식의 특징 - 코드를 간결하면서도 이해하기 쉽게 표현할 수 있다. - 클래스에 포함되어야 하는 메소드와 달리 람다식 자체만으로도 호출할 수 있다. - 메소드의 매개변수로 전달이 되거나 메소드의 결과로 반환될 수 있다. - 멀티 쓰레드를 활용하여 병렬처리를 사용할 수 있다. ..

스프링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더 다양한 기능, 효율적인 개발을 위해 여러 라이브러리들을 사용해서 개발을 하게 된다. 나는 이전 프로젝트들은 전부 Maven을 사용하였는데, 이번에 스프링 부트 강의를 듣다보니 Gradle을 알게되었다. 현재 현업에서는 거의 Gradle방식을 사용해서 개발을 한다고 해서 Maven과 Gradle 은 무엇이고, 어떤것이 다른지 알고싶어 찾아보았다. 빌드 관리 도구(Build Tool) Maven과 Gradle은 빌드 도구이다. 빌드 도구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 소스 코드를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으로 만들어주는 도구이다. 소스의 빌드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해주며, 외부 소스코드(외부 라이브러리)를 자동 추가 및 관리를 해준다. Maven 메이븐(Maven)은 자바 빌드 도구로..

첫 팀프로젝트가 끝나고 몇일 뒤에 바로 두번째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제는 스프링을 배워서 sts에서 작업하였다. 첫 프로젝트때는 어떻게 해야할지 우왕좌왕 하고 갈피를 잡기가 힘들었는데, 한번이 어렵지 두번째부터는 자신감을 갖고 시작할 수 있었다. 주제선정 이번 주제는 '스터디 카페' 페이지 제작이었다. 시중의 스터디 카페 홈페이지는 단순 홍보용 or 예약기능이 있는 사이트들이다. 다만 스터디 카페에 가면 키오스크를 통해 회원가입, 자리예약, 좌석 배정 등을 할 수 있고 심지어 음식주문도 할 수 있는 스터디카페도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이러한 모든 기능들을 웹 사이트에서 구현해보고자 이 주제를 선정하였다. 내가 맡은 기능 쉬운기능이 걸리길 바라는 사람들도 있지만, 나는 어렵더라도 남들이 기피하는 것을 해..

집에서 독학으로 공부하다가 학원에 다니기 시작한게 10월, 어느덧 3개월이 넘어 1월이 될 무렵 첫 팀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독학을 할 무렵부터 뭔가 제대로 프로젝트를 해보고 싶은 마음은 있었다. 아무래도 보통 개발은 당연히 팀 단위로 이루어지고 협업을 하니까 다른사람들과 프로젝트를 해보면서 그 느낌을 느껴보고 싶었다. 하지만 걱정도 많았다. 내가 부족해서 팀에 누가 되지 않을까, 다른 분들은 너무 잘하는데 내가 못하면 어떡하나...하는 걱정이 있었다. 그렇게 설렘 반 걱정 반의 마음을 가지고 팀이 결성되었다. 첫 회의에서 어색하게 첫 인사를 하고 자기소개를 하였다. 주제 선정 무얼 만들지 부터 정해야 했다. 여러 의견이 오가다가 사내 출퇴근 및 업무 관리를 하는 그룹웨어 사이트를 만들기로 하였다. 그..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얼마 전 슈카월드의 K-갈라파고스 영상을 보았다 보고 느낀게, 정말로 평소에는 딱히 불편함을 못느낀다. 아이폰과 애플워치를 쓰지만 애플의 좋은 서비스(애플페이, 기기찾기 등등)가 한국에 있다가 없어진것도 아니고 애초에 없었으니 딱히 불편함을 느낀적 없었고, paypal도 안쓰고, 택시는 카카오 택시를 주로 타고... 해외 나갈 일도 없으니 지도는 네이버지도를 주로 사용하고, 인터넷 쇼핑은 주로 쿠팡을 사용한다. 채팅은 카카오톡, 인터넷 검색은 나는 구글을 주로 사용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네이버를 사용할 것이다. 진짜 자국의 서비스가 이렇게 흥하는게 세계의 기준에서 보니 신기할 다름이다. 그리고 다르게 말하면 정말로 'K-갈라파고스 ' 라 불릴만 하다. 세계인들은 ..

웹 개발 공부를 시작하면서 생활코딩 강의를 들었다. 깃허브를 이용한 웹 호스팅강의에서 깃허브에 대해 처음 알게되었고, 깃허브에 가입을 하게 되었다. 간단히 깃허브에 대해 알게되고 호스팅도 해보면서 신기함을 느끼고 알아보니 개발자들이 꼭 써야하는 페이지 라고 해서 더 알아보려다가 뭔가 어려워서 좌절... 하고 자주 안들어가게 되었다. 그리고 첫 팀플을 하게 되었는데, 일단 팀원들이 각자 작업을 하다가 드는 생각이 '나중에 어떻게 합치지...?' 였다... 그래서 다시 찾아보게 된 것이 바로 깃허브. 깃허브로 협업을 하면 아주 쉽게 합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고, 바로 공부해보았다. 공부를 하면서 알게된 첫 사실. 깃(Git)과 깃허브(GitHub)는 다른것이다..! 깃허브를 사용하여 작업한 것들을 합친다고..

위의 사이트는 시그널 이라는 실시간 검색어를 보여주는 사이트이다. 이 사이트에서 새로고침을 아무리 눌러도 우측의 회사 로고와 회사소개, 실검 다시하기, 공지사항 등의 버튼은 변하지 않는다. 이렇게 변하지 않는 자원들을 정적(static)자원 이라고 한다. 웹 서버는 URL의 경로와 일치하는 파일을 읽어와 응답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파일이 바뀌기 전까지 웹 서버는 항상 같은 내용을 웹 브라우저에 전송한다. 따라서, 웹 브라우저는 늘 같은 응답 데이터를 받으므로 동일한 화면을 출력한다. 보통 이미지 파일이나 HTML파일과 같이 자주 바뀌지 않는 것들을 정적 자원이다. 그리고 새로고침을 했을 때 실시간 검색어와 언론사별 가장 많이 본 뉴스 등은 바뀐다. 내가 URL을 입력한 시점에 가장 많이 검색하는 키워드를 ..

HTML 웹 브라우저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페이지 소스 보기]를 누르면 ..... 위와같은 소스들이 나온다. 위 코드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이라고 불리는 표준을 이용해서 작성한 것이다. 웹 페이지를 만들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HTML이며, HTML표준에 정의된 , 등의 구성 요소를 이용해서 웹 페이지를 작성하게 된다. HTML을 이용해서 작성했다고 해서 HTML 문서라고도 부른다 웹 서버는 URL에 해당하는 HTML문서를 전송하는데, 웹 브라우저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HTML 문서를 분석해서 알맞은 화면을 생성한다. 이 과정을 렌더링 이라고도 표현한다. HTTP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은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HTML을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