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연산식
- 스프링부트
- 국비 프로젝트
- 웹 프로그래밍
- 동적 자원
- 변수
- if문
- 자바 프로젝트
- Java
- 연산자
- 정적 자원
- Gradle
- 그래들
- 람다
- 타입변환
- 자바 람다식
- 조건문
- 멀티 태스킹
- 자바 이항 연산자
- 웹
- 삼항 연산자
- 그래이들
- 깃허브
- 빌드 도구
- 애플페이
- Github
- 람다식
- 자바 연산자
- 단항 연산자
- 자바
- Today
- Total
목록internet and WEB (3)
인디언식 기우제

위의 사이트는 시그널 이라는 실시간 검색어를 보여주는 사이트이다. 이 사이트에서 새로고침을 아무리 눌러도 우측의 회사 로고와 회사소개, 실검 다시하기, 공지사항 등의 버튼은 변하지 않는다. 이렇게 변하지 않는 자원들을 정적(static)자원 이라고 한다. 웹 서버는 URL의 경로와 일치하는 파일을 읽어와 응답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파일이 바뀌기 전까지 웹 서버는 항상 같은 내용을 웹 브라우저에 전송한다. 따라서, 웹 브라우저는 늘 같은 응답 데이터를 받으므로 동일한 화면을 출력한다. 보통 이미지 파일이나 HTML파일과 같이 자주 바뀌지 않는 것들을 정적 자원이다. 그리고 새로고침을 했을 때 실시간 검색어와 언론사별 가장 많이 본 뉴스 등은 바뀐다. 내가 URL을 입력한 시점에 가장 많이 검색하는 키워드를 ..

HTML 웹 브라우저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페이지 소스 보기]를 누르면 ..... 위와같은 소스들이 나온다. 위 코드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이라고 불리는 표준을 이용해서 작성한 것이다. 웹 페이지를 만들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HTML이며, HTML표준에 정의된 , 등의 구성 요소를 이용해서 웹 페이지를 작성하게 된다. HTML을 이용해서 작성했다고 해서 HTML 문서라고도 부른다 웹 서버는 URL에 해당하는 HTML문서를 전송하는데, 웹 브라우저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HTML 문서를 분석해서 알맞은 화면을 생성한다. 이 과정을 렌더링 이라고도 표현한다. HTTP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은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HTML을 비..

URL과 웹 페이지 웹 브라우저에 https://happymingkyjr.tistory.com 를 입력하면 이렇게 나의 블로그가 나온다. https://happymingkyjr.tistory.com 이나 https://naver.com과 같이 웹 브라우저의 주소줄에 표시되는 것을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라고 부른다. 이는 일종의 주소와 같은 역할을 한다. 그리고 주소줄에 URL을 입력했을 때 웹 브라우저에 출력된 내용을 웹 페이지(web page)라고 부른다. URL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구성요소 설명 프로토콜 웹 브라우저가 서버와 내용을 주고받을 때 사용할 규칙 이름. 웹 페이지의 주소를 표현할 때는 http를 사용한다. 서버 이름 웹 페이지를 요청할 서버의 이름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