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언식 기우제

웹 프로그래밍 기초(1)-URL,웹 페이지,웹 브라우저,웹 서버 본문

internet and WEB

웹 프로그래밍 기초(1)-URL,웹 페이지,웹 브라우저,웹 서버

밍주키니어 2022. 12. 30. 21:55
URL과 웹 페이지

웹 브라우저에 https://happymingkyjr.tistory.com 를 입력하면

 이렇게 나의 블로그가 나온다.

https://happymingkyjr.tistory.com 이나 https://naver.com과 같이 웹 브라우저의 주소줄에 표시되는 것을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라고 부른다. 이는 일종의 주소와 같은 역할을 한다.

그리고 주소줄에 URL을 입력했을 때 웹 브라우저에 출력된 내용을 웹 페이지(web page)라고 부른다.

 

URL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구성요소 설명
프로토콜 웹 브라우저가 서버와 내용을 주고받을 때 사용할 규칙 이름. 웹 페이지의 주소를 표현할 때는 http를
사용한다.
서버 이름 웹 페이지를 요청할 서버의 이름을 지정한다. 서버 이름은 "naver.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이나
180.70.134.239와 같은 IP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경로 웹 페이지의 상세 주소에 해당한다. 즉, 웹 페이지마다 다른경로를 갖는다.
쿼리 문자열 추가로 서버에 보내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같은 경로라 하더라도 입력한 값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여줘야 할 때 쿼리 문자열을 사용한다.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페이지에서 입력한 검색어에 따라 다른
내용이 표시되는데, 보통 쿼리 문자열을 이용해서 검색어를 전달한다.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웹 브라우저 주소줄에 URL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웹 페이지가 출력된다.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는 다름 컴퓨터에 위치하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연결하려면 웹서버가 실행중인

컴퓨터의 주소를 알아야 하는데, 이 주소를 IP주소라고 한다.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컴퓨터들은 고유의 주소값인 IP주소를 갖고 있다. IP주소는 180.70.134.239와 같은 숫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우기가 쉽지 않다. 이런 이유로 IP주소 대신에 "naver.com"과 같이 기억하기 좋은 도메인 이름을

사용한다. 그리고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가 통신 할 때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해 주는 것이

DNS(Domain Name Server)이다.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웹브라우저는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DNS에 요청하고, DNS는 IP 주소를 응답으로 제공한다.

DNS로부터 IP 주소를 받으면, 웹 브라우저는 IP주소를 이용해서 웹 서버에 연결한 뒤 URL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웹 페이즈를 응답으로 받게 된다.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웹 페이지를 달라고 하는 것을 흔히 '요청(request)'한다고 표현하고, 요청한 웹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에 제공하는 것을 '응답(response)'이라고 표현한다.

 

포트

한개의 컴퓨터에는 웹 서버 프로그램만 실행되는 것이 아니다. 한 컴퓨터에서 여러개의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IP주소는 연결할 컴퓨터를 구분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IP 주소만으로는 컴퓨터의 어떤 서버 프로그램을 실행할지 알 수 없다.

이런 이유로 각 서버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가 연결할 때 다른 서버 프로그램과 구분할 수 있도록 포트(port)라는 것을

사용한다. 포트는 숫자로 된 번호로써, "http://localhost:8080/index/jsp"와 같이 URL을 입력했을 때 콜론(":")다음에 위치한 8080이 포트 번호이다. 그러므로 같은 IP주소에 포트 번호를 달리 입력하면, 해당 포트 번호에 맞는 서버에 연결할 수 있다.